IT관련 지식들
2017. 2. 23. 14:31
우분투에서 계정을 추가, 삭제하고 그룹에 더하고 빼는 등 계정을 관리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본다.
1. adduser [계정이름]
- 계정 생성시 비밀번호까지 입력 받음.
2. useradd [옵션] [계정이름]
- 순수하게 계정만 추가.
- 사용해본 옵션
-m : 계정이름으로 홈 디렉토리 생성 및 지정.
-g [GROUP_NAME] : 그룹 추가.
3. passwd [계정이름]
- 계정의 비밀번호 변경.
- useradd로 생성한 경우, 비밀번호가 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꼭 필요.
4. deluser [계정이름]
- 계정 삭제. (홈 디렉토리는 삭제되지 않음)
5. /etc/passwd 파일 확인
- 생성한 계정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음.
계정명 : 암호 : 사용자ID : 그룹ID : 코멘트 : 홈디렉토리 : 시작 쉘
6. usermod [옵션] [계정이름]
- 계정에 대한 변경.
-G [그룹명] : 그룹에 계정 추가.
* cat /etc/group
* sudo usermod -G test01 test02
* cat /etc/group
7. gpasswd [옵션] [그룹이름]
- 그룹을 관리하는 명령어
-a [계정이름] [그룹이름] : 계정을 그룹에 추가.
ex) $sudo gpasswd -a test01 group01
'IT관련 지식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버추얼박스 USBtoSerial 연결 (0) | 2017.06.09 |
---|---|
우분투에서 libusb 사용 시작하기. (1) | 2017.03.08 |
clock_gettime함수 (0) | 2017.02.13 |
우분투 'kr.archive.ubuntu.com'의 주소를 알아낼 수 없습니다 (2) | 2017.01.17 |
윈도우즈 git 설치 및 사용. (0) | 2016.11.18 |